Sponsored By
















728x90

※ 이전 글 : https://asterisco.tistory.com/467

 

 

은행의 IT 시스템은 다양한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나뉘어 운영됩니다. 특히 기간계, 계정계, 정보계, 대외계는 금융 업무의 핵심을 담당하는 주요 시스템으로, 각 시스템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은행 IT 시스템의 구조와 각 시스템의 역할, 특징, 최신 트렌드까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

1. 기간계 시스템(Online Transaction Processing, OLTP)

📌 개념

기간계 시스템은 은행의 핵심 업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. 고객이 계좌를 개설하고, 송금을 하거나, 대출을 신청할 때 해당 거래가 빠르게 처리되는 것은 바로 기간계 시스템 덕분입니다.

📌 주요 역할

실시간 금융 거래 처리 (입출금, 송금, 대출, 카드 승인 등)
고객 계좌 및 금융 상품 관리
은행의 모든 지점 및 채널(ATM, 모바일뱅킹, 인터넷뱅킹)과 연동

📌 특징

  • 24시간 운영 필요
  • 고성능, 높은 안정성 요구
  • 거래 처리 속도가 가장 중요

📌 대표적인 기간계 시스템 예시

  • 고객이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는 순간, 계좌 잔액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과정
  • 신용카드 결제 시 승인 여부를 즉시 확인하는 과정

2. 계정계 시스템(Accounting System)

📌 개념

계정계 시스템은 고객의 모든 금융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시스템입니다. 즉, 고객이 은행에서 수행한 모든 금융 활동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,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종 회계 처리를 수행합니다.

📌 주요 역할

고객 계좌의 입출금 내역 관리
잔액 및 이자 계산
대출 원리금 상환 처리
금융 상품별 계좌 관리(예금, 적금, 대출 등)

📌 특징

  • 정확한 데이터 기록이 중요
  • 기간계 시스템과 연동하여 실시간 데이터 반영
  • 법적, 회계적 기준 준수 필요

📌 대표적인 계정계 시스템 예시

  • 고객이 월급을 받으면 자동으로 잔액이 증가하고, 거래 내역이 기록됨
  • 예금 계좌의 이자가 매월 자동으로 계산되어 지급됨

3. 정보계 시스템(Information System, OLAP)

📌 개념

정보계 시스템은 기간계 및 계정계 시스템에서 발생한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고 보고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입니다. 은행 경영진이 전략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, 고객 맞춤형 금융 상품을 개발할 때 정보계 시스템이 핵심 역할을 합니다.

📌 주요 역할

금융 데이터 분석 및 통계 생성
경영 전략 수립을 위한 보고서 제공
고객 맞춤형 금융 상품 개발
리스크 분석 및 이상거래 탐지(FDS, Fraud Detection System)

📌 특징

  •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
  • AI,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해 발전 중
  • 은행의 미래 전략 수립에 필수적

📌 대표적인 정보계 시스템 예시

  • 특정 연령대의 고객이 선호하는 금융 상품 분석
  •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대출 신청 패턴 분석
  • 금융 사기 패턴을 찾아내는 AI 기반 탐지 시스템

4. 대외계 시스템(External System)

📌 개념

대외계 시스템은 은행과 외부 기관(금융결제원, 타 은행, 카드사, 정부 기관 등)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입니다. 예를 들어, A은행에서 B은행으로 송금을 할 때, 대외계 시스템을 통해 정보가 전송됩니다.

📌 주요 역할

은행 간 실시간 송금 및 결제 처리
정부 및 금융기관과의 데이터 교환
카드사, 증권사, 보험사 등과 연계된 금융 서비스 제공

📌 특징

  • 보안이 가장 중요한 시스템 (개인정보 보호, 해킹 방지)
  • 실시간 대량 데이터 처리 필요
  • 국내 및 국제 금융망과 연결

📌 대표적인 대외계 시스템 예시

  • 금융결제원을 통한 타행 송금
  • 신용정보원을 통한 고객 신용 평가 조회
  • 해외 송금 및 외화 결제 서비스

5. 기간계/계정계/정보계/대외계 시스템 비교

시스템 유형 주요 역할데이터 처리 방식 대표적인 예시
기간계 실시간 금융 거래 처리 실시간(OLTP) ATM 출금, 모바일 송금
계정계 금융 거래 기록 및 관리 실시간 반영 잔액 관리, 이자 계산
정보계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생성 분석 중심(OLAP) 고객 패턴 분석, 리스크 관리
대외계 은행과 외부 기관 간 데이터 교환 실시간 및 배치 처리 타행 송금, 카드 승인 요청

6. 최신 트렌드 및 미래 전망

1) 클라우드 기반 은행 시스템 도입

기존에는 자체 서버를 운영했지만, 최근 많은 은행이 AWS, Google Cloud,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기간계, 계정계, 정보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📌 장점

  • 유지보수 비용 절감
  • 빠른 확장성 제공
  • 보안 및 백업 강화

2) AI와 빅데이터 분석 강화

정보계 시스템에서 AI 기반 고객 분석머신러닝 기반 리스크 분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습니다.

📌 적용 사례

  • AI 챗봇을 통한 고객 상담 자동화
  • 이상거래탐지(FDS) 시스템을 활용한 금융 사기 방지

3) 블록체인 기술 적용

대외계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국제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.

📌 적용 사례

  • 리플(Ripple) 기반의 초고속 해외 송금 서비스
  •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(CBDC) 시스템 구축

7. 결론

은행 시스템은 기간계, 계정계, 정보계, 대외계로 나뉘며, 각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금융 서비스를 원활하게 운영합니다.

기간계: 실시간 금융 거래 처리
계정계: 거래 데이터 저장 및 회계 처리
정보계: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생성
대외계: 외부 금융기관과 정보 교환

AI, 빅데이터, 블록체인, 클라우드 등의 신기술이 도입되면서, 은행 시스템은 더욱 발전하고 있으며, 디지털 금융 시대에 맞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. 🚀

 

 

오늘도 제 이야기 들어주셔서 감사해요. 다음에 또 다른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.

 

안녕히 계세요! 👋🏻

728x90


Sponsored By












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