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onsored By
















728x90

※ 출처 : https://asterisco.tistory.com/527



응용시스템(Application Systems)에 대한 위협모델 별 대응 방안은 아래와 같다:<br>

 

위협 대응(통제)
스푸핑 (Spoofing) ID, PW 설정
데이터 조작 (Tampering) HASH 값 확인(설정)
거부 (Repudiation) 디지털 서명 설정
정보노출 (Information Disclosure) 암호화
서비스 거부 (Denial of Services, DOS) 네트워크 필터링(Anomaly IDS 등)
권한 상승 (Elevation Of Privilege ) 사용자 권한 통제 및 SOD



 

728x90
728x90

 


ㅁ. 카카오(브레인)의 GPT-3 기반의 한국어 모델인 KoGPT OPEN API를 사용해보겠다.


1․ 최근에 카카오에서 Dev 신규API 사용 가이드가 메일로 오게 되어서 포스팅을 시작하게 되었다. 





2․ 카카오 개발사이트로 접속해서 로그인 > 문서 탭을 누른다.<br>
https://developers.kakao.com





3․ 아래쪽으로 내려서 '인공지능API 가이드' 부분에 'KoGPT' 를 누른다.





4․ 'REST API' 를 눌러 사용법을 확인한다.





5․ 스크롤을 아래서 내려 '뉴스 한 줄 요약하기' 부분으로 KoGPT API를 사용 해 보자. 





6․ 코드(로직)는 카카오에서 알려준 아래 링크로 사용해보자.

# coding=utf8
# REST API 호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
import requests
import json

# [내 애플리케이션] > [앱 키] 에서 확인한 REST API 키 값 입력
REST_API_KEY = '${REST_API_KEY}'

# KoGPT API 호출을 위한 메서드 선언
# 각 파라미터 기본값으로 설정
def kogpt_api(prompt, max_tokens = 1, temperature = 1.0, top_p = 1.0, n = 1):
    r = requests.post(
        'https://api.kakaobrain.com/v1/inference/kogpt/generation',
        json = {
            'prompt': prompt,
            'max_tokens': max_tokens,
            'temperature': temperature,
            'top_p': top_p,
            'n': n
        },
        headers = {
            'Authorization': 'KakaoAK ' + REST_API_KEY,
           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json'
        }
    )
    # 응답 JSON 형식으로 변환
    response = json.loads(r.content)
    return response

# KoGPT에게 전달할 명령어 구성
prompt = '''인간처럼 생각하고, 행동하는 '지능'을 통해 인류가 이제까지 풀지 못했던'''

# 파라미터를 전달해 kogpt_api()메서드 호출
response = kogpt_api(
    prompt = prompt,
    max_tokens = 32,
    temperature = 1.0,
    top_p = 1.0,
    n = 3
)

print(response)





7․ 요약할 기사는 최근 금융위에서 내용을 기반으로 요약해보자.<br>
※ 기사 원문 : [https://sedaily.com/NewsView/26F3AZEIF5](https://sedaily.com/NewsView/26F3AZEIF5)





8․ 한 줄 요약된 내용을 확인한다.



※ 출력결과 :

2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'2021년 상반기 은행권 기술금융실적 평가' 결과 대형 은행 중 농협은행이, 소형 은행 중 부산은행이 각각 1·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.

 


9․ 결론 : 
숫자등은 잘 맞지 않지만 핵심 내용은 잘 파악하는 것 같다. 한줄요약 웹페이지 만들어서 회사 회의록 요약기능을 만들어 봐야겠다. :)

728x90
728x90


ㅁ. 카카오(브레인)의 그림인공지능인 칼로(KARLO) OPEN API를 사용해보겠다.


1.  z최근에 카카오에서 Dev 신규API 사용 가이드가 메일로 오게 되어서 포스팅을 시작하게 되었다. 




2. 카카오 개발사이트로 접속해서 로그인 > 문서 탭을 누른다.

http://developers.kakao.com




3. 아래쪽으로 내려서 '인공지능API 가이드' 부분에 KARLO를 누른다.




4. 'REST API' 를 눌러 사용법을 확인한다.




5. 스크롤을 아래서 내려 '이미지생성하기' 부분으로 칼로API를 사용 해 보자. 



6. 코드(로직)는 카카오에서 알려준 아래 링크로 사용해보자.<br>

# REST API 호출, 이미지 파일 처리에 필요한 라이브러리
import requests
import json
import io
import base64
from PIL import Image

# [내 애플리케이션] > [앱 키] 에서 확인한 REST API 키 값 입력
REST_API_KEY = '${REST_API_KEY}'

# 이미지 생성하기 요청
def t2i(text, batch_size=1):
    r = requests.post(
        'https://api.kakaobrain.com/v1/inference/karlo/t2i',
        json = {
            'prompt': {
                'text': text,
                'batch_size': batch_size
            }
        },
        headers = {
            'Authorization': f'KakaoAK {REST_API_KEY}',
           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json'
        }
    )
    # 응답 JSON 형식으로 변환
    response = json.loads(r.content)
    return response

# Base64 디코딩 및 변환
def stringToImage(base64_string, mode='RGBA'):
    imgdata = base64.b64decode(str(base64_string))
    img = Image.open(io.BytesIO(imgdata)).convert(mode)
    return img

# 프롬프트에 사용할 제시어
text = "A lake, alpine, vivid"

# 이미지 생성하기 REST API 호출
response = t2i(text, 1)

# 응답의 첫 번째 이미지 생성 결과 출력하기
result = stringToImage(response.get("images")[0].get("image"), mode='RGB')
result.show()



7. 기본으로 제시된 상황('A lake, alpine, vivid')으로 이미지를 생성 해 보자.



8. 똑같은 값으로 이미지를 재 생성하면 다른 이미지를 그려준다.



9. 다른 값('Start, bundle, universe')로 그림을 그려보자.



10. 한번 더 그려보면 역시 다른 이미지로 그려지는 것을 확인 할 수 있다.



11. 오픈API 여서 그런지 1일 횟수제한이 있는 것 같다.

728x90
728x90

ㅁ. 클레이스왑에서 보상수령 과 수수료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

※ 거버넌스에서 예시를 들었지만, 클레이스왑에서 보상수령 하는 방법은 전부 아래와 동일하다.<br>
※ 클레이스왑 주소 : https://klayswap.com/

 

1. '보상수령' 버튼을 누른다.




2. '수령하기' 버튼을 누른다.




3. QR코드를 인식하여 '카카오 Klip 지갑 연결' 한다.




4. 본인의 지갑주소와 내용 등을 확인하고 '다음' 버튼을 누른다.




5. 보상이 완료되어 '보상수령' 버튼이 비활성화 된 것을 확인한다.



728x90
728x90

ㅁ. 클레이스왑과 카카오 지갑인 Klip 서비스의 연동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※ 사전준비 : Klip 을 통한 지갑 생성

1. 클레이스왑 홈페이지에 접속한다. (https://klayswap.com/)




2. '지갑연결' 버튼을 누른다.




3. 'Klip 카카오톡으로 Klip 지갑 연결' 을 누른다




4. Klip 내 정보제공 확인해서 '다음' 을 누른다.




5. '지갑 연결 완료' 라는 토스트 메시지가 뜬것을 확인한다.




6. 우측 상단에 더보기를 눌러 내 지갑과 연결된 것을 확인할 수 있다.




728x90


Sponsored By















+ Recent posts